임금3

주휴수당, 근로자 전부 지급해야 하나요? 안녕하세요. 10년차 세순이 토로입니다 : ) 사업주나 근로자는 주휴수당이라는 말을 들어보셨을 겁니다. 사업주는 개근한 근로자에게 평균 1회 이상의 유급휴일을 주어야 합니다. 사업주는 주휴일에 통상적인 근로일의 하루치 시급을 주급과 별도로 산정하여 근로자에게 지급을 해야 하는데 이것을 주휴수당이라고 합니다. 주휴수당을 그러면 다 지급해야 하는 것인지 계산방법은 어떠한지 정리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 주휴수당 지급조건 주휴수당을 지급받기 위해서는 2가지 요건이 충족되어야지만 받을 수 있습니다. 첫번째, 상시근로자 또는 단시간 근로자와 관계없이 휴게시간을 제외한 소정근로시간이 주 15시간 이상이어야 합니다. 이때 5인 미만 사업장도 동일합니다. 근로자의 사정에 따라 결근한 경우에는 주휴수당이 지급되지 않습니.. 2021. 11. 12.
연차수당 계산은 어떻게 할까? 안녕하세요. 10년차 세순이 토로입니다 : ) 근로기준법상에는 상시근로자 5인 이상 사업장에서 1주간 기준 근로시간이 40시간이고 1년간 80% 이상을 출근한 근로자에게 15일의 유급휴가를 부여해야 한다고 명시되어 있습니다. 1년에 80% 이상 출근이라는 것은 법정휴일이나 약정휴일을 제외한 사업장의 연간 총 소정근로일수에서 출근한 날이 80% 이상인 경우를 말합니다. 그러면 연차수당의 계산방법과 상세한 내용을 정리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 연차수당이란? 1년 미만 근로한 근로자는 1년 뒤에 발생하는 것이 아니라 1개월 개근 시 매월 1일의 연차휴가가 발생되는 것이고 1년간 80%이상 출근할 시 15일의 연차 유급휴가가 주어지는 것입니다. 근로기준법에 따라 발생한 연차를 근로자가 사용하지 않는다면 당연히 .. 2021. 11. 11.
평균임금 계산 헷갈리지 말자 안녕하세요 10년차 세순이 토로입니다 : ) 근로기준법상 근로하였던 근로자가 퇴사하여 퇴직급여가 발생하거나 해고 등으로 인하여 재취업을 장려하기 위한 구직급여, 징계로 급여가 깎이는 경우, 사용자의 귀책사유로 휴업할 시 발생되는 휴업수당 등에 대해서 급여, 수당을 계산하여 지급하려면 평균임금을 산정하고 이를 기준으로 지급하여야 합니다. 단어가 비슷한 통상임금과 평균임금은 또 차이가 있습니다. 오늘은 평균임금에 대해서 먼저 정리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 평균임금이란 평균임금의 정의 평균임금은 각종 급여 산출 시에 계산 단위로 중요한 부분입니다. 근로기준법상 사유가 발생한 날 이전 3개월간에 당해 근로자에게 지급된 임금의 총액을 그 기간의 총일수로 나눈 금액을 말합니다. 개별 근로자의 실제 근로시간이나 근무.. 2021. 9. 29.

TOP

TEL. 02.1234.5678 / 경기 성남시 분당구 판교역로